반응형

실업급여 지급액, 지급일수 알아보기


직장생활을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4대보험이 가입이 됩니다. 그 중에 하나가 고용보험입니다.

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실직이 되어 재 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일정의 급여를

지급함으로써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면서 빠른 취업을 지원해주는 제도적인 장치입니다.




실업급여 지급액


퇴직전 3개월 평균 임금의 50% X 소정급여일수


최고액: 1일 4만원

최저액: 최저 입금법상 시간급 최저금액의 90% x 1일


예를 들어 보겠습니다.


퇴직전 3개월동안 월급이 300만원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.

그러면 일급을 계산해보면 약 10만원이 나옵니다. 

여기에서 50%는 5만원입니다. 그러나 최고액은 4만원입니다. 

즉  4만원 x  지급일수 = 예상지급액이 됩니다.


반대로 월급이 100만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.

일급이 3만원이고 50%이면 약 1.5만원입니다.

그러나 최저액이 적용되기 때문에 약 100만원/월 의 실업급여가 나옵니다.


지급일수(수급기간, 소정급여일수)


퇴직 당시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최소 90일에서 최대 240일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



실업급여 모의계산을 통하면 보다 정확한 예상급여를 알 수 있습니다.
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